■ 진행 : 이광연 앵커 <br />■ 출연 :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Q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북한이 태양절을 이틀 앞두고, 고체연료방식으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을 시험 발사했습니다. 이번 도발의 의미와 더불어 한미 정상회담을 겨냥한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까지 함께 전망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님 나오셨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ICBM 화성포-18형을 처음으로 시험발사했다. 두 달 전 그때 열병식 얘기를 안 할 수가 없는데 그때 북한이 마지막에 공개했던 그 무기인 거죠? <br /> <br />[양무진] <br />북한이 새로운 전략무기랄까요. 이런 이름하에 지난해 12월에 고출력 엔진시험을 했습니다. 그리고 그 엔진시험한 무기체계를 가지고 지난 2월 8일 건군절에 열병식에서 노출했죠. 그렇다면 열병식 노출 이후 한 2개월, 그리고 또 지난해 12월 이후 한 4개월이랄까요. <br /> <br />이 사이에서 화성-18형을 시험발사했다는 것은 기술적인 급진전 이것을 보여준 것이 아니냐를 보여주고 방금 앵커께서 말씀하신 대로 화성-18형은 아마 고체연료의 ICBM급이다, 이렇게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최근에 도발 경향을 보면 말씀하신 대로 모형을 공개하고 개발에 나서고 시험발사, 이렇게 패턴이 형성이 되거든요. 이번에도 그렇게 보면 되겠습니까? <br /> <br />[양무진] <br />그렇습니다. 모형보다도 어찌 보면 엔진시험, 모형, 개발, 시험. 실제 시험이죠. 이러한 단계에서 제일 마지막에는 여기에 대해서 모든 것이 기술적으로 확인이 된다 하면 실전배치랄까요. 이러한 5단계까지도 우리가 구분해서 볼 수는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렇군요. 고체연료 ICBM은 핵소형화와 함께 북한의 핵무력 완성의 최종 관문, 이렇게 평가하기 도 하는데 그걸 이해하려면 액체연료와 고체연료의 차이점을 이해해야 될 것 같은데 일단 언론 보도에서는 은밀성과 신속성을 고체연료로 규정하고 있더라고요. 덧붙여주시죠. <br /> <br />[양무진] <br />일반적으로 액체연료 하면 결국은 연소 효율이 높습니다. 고체연료보다도. 그러나 다른 전반적인 사항에서는 고체연료가 일종의 갑이 살고 장착하고 난 이후에 오랜 시간 동안 견딜 수 있고 또 그리고 은밀성, 신성속, 더 나아가 안정성까지 담보되는 것이 고체연료다. 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41416153084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